미술 감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술 감독은 영화 및 TV, 특히 애니메이션 분야에서 배경 미술을 총괄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애니메이션 미술 감독은 작품의 세계관, 분위기, 색상을 결정하며, 미술 설정, 미술 보드 제작, 배경 스태프 관리 등 다양한 업무를 수행한다. 주요 업무로는 각본과 캐릭터 디자인을 바탕으로 배경 디자인을 하는 미술 설정, 작품의 분위기를 보여주는 미술 보드 제작 등이 있다. 애니메이션 배경은 전문 스튜디오에서 제작되는 경우가 많으며, 미술 감독은 배경 제작 회사와의 협업을 통해 작품의 완성도를 높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술 감독 - 신정균 (영화 감독)
신정균은 1980년 연극 배우로 데뷔하여 영화계에 입문, 다양한 역할을 거쳐 1999년 영화 《삼양동 정육점》으로 데뷔한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이자 연출가이며, 신상옥과 최은희의 장남이다. - 미술 감독 - 김한 (1909년)
김한은 일제강점기와 광복 이후 영화계에서 미술 감독, 배우로 활동했으며, 친일 행위와 좌익 계열 영화 단체 활동을 거쳐 한국 전쟁 전에 월북한 인물이다.
미술 감독 | |
---|---|
기본 정보 | |
직업 분야 | 영화 |
직업 | 미술 |
주요 업무 | 영화의 미술 디자인, 촬영 세트 디자인 및 감독 |
관련 직업 | 미술감독 장식가 제작 디자이너 |
상세 정보 | |
개요 | 영화 미술 감독은 영화 제작에서 시각적 스타일과 이미지를 책임지는 사람이다. |
역할 | 영화의 전체적인 시각적 콘셉트와 스타일을 개발한다. 촬영 세트 디자인 및 감독한다. 영화의 미술, 의상, 소품 및 기타 시각적 요소를 관리한다. |
필요 기술 | 미술 디자인 기술 건축 디자인 기술 색채학 지식 영화 제작 기술 |
근무 환경 | 영화 촬영 현장 디자인 스튜디오 사무실 |
보수 | 영화의 규모와 경력에 따라 다르다. |
전망 | 영화 산업의 성장과 함께 영화 미술 감독의 수요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
관련 협회 | 미술감독협회 |
2. 영화 및 TV 미술 감독
(빈 텍스트)
2. 1. 한국의 주요 미술 감독
- 이가와 도쿠미치
- 이소미 토시히로
- 키타 타케오
- 키무라 타케오
- 타네다 요헤이
- 추코 사토시
- 이나가키 나오오
- 사쿠시마 에리
- 키타가와 미유키
- 하야시타 히로시
- 이와키 나미코
- 하라다 미츠오
3. 애니메이션 미술 감독
애니메이션에서 '''미술 감독'''은 배경 미술에 관련된 모든 것을 총괄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배경 스태프를 이끌고 작품의 세계관, 분위기, 색상을 결정한다. 작품에서 캐릭터 그림을 제외한 모든 것이 배경 미술이 되므로, 감독의 의도를 파악하여 영상의 분위기를 조성하는 매우 중요한 직책이라고 할 수 있다.
작품 제작 과정에서 미술 감독의 첫 번째 업무는 각본과 캐릭터 디자인이 결정된 후, 필요한 무대 배경이나 오브젝트 등을 디자인하는 「미술 설정」이다. 미술 설정이 결정되면, 미술 설정과 감독의 그림 콘티를 바탕으로 색감과 분위기를 고려하며 작품의 대표적인 배경 장면을 대략적으로 「미술 보드」에 그려낸다. 이렇게 그려진 미술 보드는 배경 스태프에게 전달되어, 더욱 상세한 배경 그림으로 그려진다. 미술 감독은 각 스태프가 작업한 배경 그림을 최종 점검하고, 수정 지시를 내리는 역할도 수행한다.
2010년대에는 미술 설정 전문가를 두는 작품도 있어, 미술 감독이 미술 설정을 담당하지 않는 경우도 많아졌다. 또한, 3DCG로 그려진 건물의 텍스처 제작이나 메카의 질감을 표현하는 작업을 담당하기도 하며, 회사 내에서의 배경 그림 회의, 레이아웃 관리, 외주 발주분 관리, 스케줄 관리 등 관리직 업무도 수행한다.
3. 1. 미술 설정
애니메이션에서 '''미술 설정'''은 주인공을 비롯한 등장인물들이 활동하는 장소를 제작 스태프가 이미지로 공유할 수 있도록 레이아웃화한 것을 말한다.[1] 미술 설정은 배경 창작에서 특히 중요한 작업으로, 배경 완성도의 60%를 결정한다고도 한다.[1] 내용이 불충분하면 높은 품질의 작품을 제작할 수 없기 때문에[1], 주로 미술 감독이 작성하지만 작품에 따라 미술 설정 전담 직책이 배치되는 경우도 있다.[1]미술 설정은 감독이나 연출가와의 면밀한 회의(미술 회의)를 거친 후에 작성된다.[1] 따라서 작품의 제작 의도 및 테마에 맞는 퀄리티 높은 설정을 작성해야 하며, 배경 스태프뿐만 아니라 작화 스태프 등도 사용하므로 설정 이미지를 공유할 수 있는 내용으로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1]
미술 설정은 한 번 작성했다고 끝나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추가 설정 의뢰가 있으며[1], 레이아웃을 작성할 때는 미술 설정을 확인하면서 작화해 나간다.[1] 2010년대에는 미술 설정 전문가를 두는 작품도 있어, 미술 감독이 미술 설정을 담당하지 않는 작품도 많아지고 있다.
3. 2. 미술 보드
미술 감독은 미술 설정과 감독의 그림 콘티를 바탕으로 색감과 분위기를 고려하며, 작품의 대표적인 배경 장면을 대략적으로 「'''미술 보드'''」에 그려낸다.[1] 건물이나 거리도 시간대에 따라 전혀 다른 분위기를 가지므로, 이러한 세부 사항을 감독과 긴밀하게 논의한다.[1] 이렇게 그려진 미술 보드는 배경 스태프에게 전달되어, 더욱 상세한 배경 그림으로 그려진다.[1]3. 3. 미술 디자인
토에이 애니메이션에서는 미술 설정과 미술 보드를 동일 인물이 수행하고 있으며, 이를 "'''미술 디자인'''"이라고 한다.[1] 토에이 애니메이션 외의 작품에서는 "미술 설정"과 동일한 직책으로 표기되는 경우가 있다.[1]3. 4. 주요 애니메이션 미술 감독
- 아오키 카츠시
- 아오야마 나오키 (프로덕션 아이)
- 아키야마 켄타로 (studio Pablo)
- 이오카 마사히로
- 이케 노부타카
- 이케다 시게미
- 이케다 유지 (스튜디오 와이에스)
- 이케하타 유지
- 이시가키 츠토무
- 이토 카즈카즈
- 이토 히로시 (KUSANAGI)
- 우에하라 신이치 (스튜디오 라그라스)
- 우노구치 죠지
- 에비사와 카즈오 (ufotable)
- 에토 코지 (ufotable)
- 오노 히로시
- 오가 카즈오
- 오구라 히로마사
- 카토 히로시 (토토냥)
- 카토 야스다다 (스마치루)
- 카와모토 세이헤이
- 키무라 신지
- 쿠시타 타츠야
- 쿠보타 타다오
- 쿠로다 사토시
- 코노 지로
- 코노 레이
- 쿠라하시 타카시 (토에이 애니메이션)
- 코바야시 시치로
- 사사키 요
- 시부야 유키히로
- 시미즈 토시유키
- 신카이 마코토
- 스즈키 슌스케 (스튜디오 후가)
- 스즈키 모리시게
- 타시로 카즈시
- 타나카 나오야
- 타무라 세이키
- 탄지 타쿠미
- 츠치다 이사무
- 츠치하시 마코토
- 토쿠다 토시유키 (펄서 디자인)
- 나카쿠기 타카마사
- 나카무라 코키
- 나카무라 타카시
- 탄이다 테루히코 (J.C.STAFF)
- 니시다 미노루
- 한도 카츠미
- 히라타 슈이치
- 히로세 요시노리 (J.C.STAFF)
- 마스야마 오사무 (인스파이어드)
- 무쿠오 타카시
- 야마모토 니조
- 유키 노조미조 (토에이 애니메이션)
- 요시이케 류지 (토에이 애니메이션)
- 요시다 노보루
스튜디오 잭
- 카네무라 카츠요시
- 니시쿠라 치카라
- 무토 마사토시
- 타카하시 카즈히로
- 카스가 레이지
- 카와이 야스타리
- 아키바 미노루
- 키타하라 미사
- 나가이 케이스케
- 마유즈미 마사키
디자인 오피스 메카맨
- 나카무라 요시히로
스튜디오 이스터
- 아즈마 준이치
스튜디오 튤립
- 나가오 히토시
- 타카하시 마호
- 이와세 에이지
- 카이즈 토시코
- 나이토 켄
- 요시다 미치코
- Scott MacDonald
- 타테이시 켄
- 타키구치 카츠히사
- 스즈키 토모나리
- 모치즈키 타쿠마
- 아이자와 료
문 플라워
- 미즈타니 토시하루
스튜디오 카논
- 시바타 치카코
스튜디오 유니
- 후루야 아키라
아틀리에 Platz
- 마츠모토 히로키
- 이치쿠라 케이
- 와타나베 유키히로
- 히라마 유카
4. 애니메이션 배경 제작 회사
애니메이션 업계에서는 애니메이션 배경화를 전문 스튜디오가 제작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A 프로덕션(현: 신에이 동화), Production I.G(관련 회사: IG 오구라 공방), 교토 애니메이션, 베가 엔터테인먼트, J.C.STAFF 등과 같이 대형 회사들은 자체적으로 또는 관련 회사에 미술 배경 부문을 두기도 한다.
최근에는 미술 배경을 해외 회사에 발주하는 경우도 많아졌다(일본 회사의 해외 지사일 경우도 있다). 이에 따라 미술 감독도 해외 스태프가 맡는 경우도 있지만 미술 설정은 국내에서 하는 경우가 많다(예로 『네가 바라는 영원』, 『키스덤 -ENGAGE planet-』 등이 있다).[1]
4. 1. 주요 배경 제작 회사 (해외 포함)
애니메이션 업계에서는 전문 스튜디오가 애니메이션 배경화를 제작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A 프로덕션(현: 신에이 동화), Production I.G(관련 회사: IG 오구라 공방), 교토 애니메이션, 베가 엔터테인먼트, J.C.STAFF 등과 같이 대형 회사들은 자체적으로 또는 관련 회사에 미술 배경 부문을 두기도 한다.최근에는 해외 회사에 미술 배경 제작을 맡기는 경우도 많아졌다. 일본 회사의 해외 지사일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미술 감독을 해외 스태프가 맡기도 하지만, 미술 설정은 국내에서 하는 경우가 많다. (예: 『네가 바라는 영원』, 『키스덤 -ENGAGE planet-』)
다음은 주요 배경 제작 회사 목록이다.
회사명 |
---|
ARTMAX (아트맥스) |
ART Rain |
아테네 아트 스튜디오 |
Aterier KARO (아틀리에 KARO) |
아틀리에 부카 |
아틀리에 라스코 |
아틀리에 로크 07 |
아틀리에 론 |
아틀리에 무사 |
애니메이션 공방 바사라 |
이미지 룸 지로 |
인스파이어드 |
ECHO |
그림 영화사 |
이시가키 프로덕션 |
WON PRODUCTION |
F.A.I 인터내셔널 |
L.GREEN PRO |
KLAS (케트라 아트 스튜디오) |
GIMC |
HAL-ART (하루 아트) |
쿠사나기 |
GREEN |
K 프로덕션 |
고바야시 프로덕션 (※해산) |
큐운 플랜트 |
스튜디오 이스터 |
* 이스터 히메조 |
* 이스터 사쿠라조 |
* 이스터 야츠조 |
* 이스터 모미지 |
* 코리아 이스터 |
계성 프로덕션 |
코스모스 아츠 |
시스루 스튜디오 |
상하이 슈퍼맨 |
상하이난욱영상설계유한공사 |
Studio ar.t. on |
스튜디오 아쿠아 |
스튜디오 WHO |
스튜디오 카논 |
스튜디오 잭 |
STUDIO SEY |
Studio Daiyo |
스튜디오 튤립 |
스튜디오 테이크원 |
스튜디오 파인우드 |
스튜디오 팔레트 |
STUDIO BEAM |
스튜디오 후가 |
스튜디오 포레스트 |
Studio Blue (구: Ani Village) |
스튜디오 호마레 |
스튜디오 MAO |
스튜디오 미호 |
* 미호 VIETNAM |
스튜디오 유니 |
스튜디오 라그라스 |
스튜디오 로프트 |
* SEOUL LOFT |
스튜디오 루퍼스 |
스튜디오 와이에스 |
스테레오타입스 마칠 |
디자인 오피스 메카맨 |
TEAM'S ART |
팀 틸 돈 |
텐진 |
DR MOVIE |
토토냥 |
잠자리 스튜디오 |
DoWon |
한진 애니메이션 |
HIJIRI |
PAC |
PAK PRODUCTION |
P&T Entertainment |
풍영상문화발전유한공사 |
문성영상 |
박 프로덕션 |
펄서 디자인 |
Bamboo |
빅 스튜디오 |
북경금송림영상공사 |
헤드웍스 |
forest studio |
프로덕션 아이 |
보아 83 |
화이트 맵 (※해산) |
미니아트 (도산) |
문플라워 |
무쿠오 스튜디오 |
류미도 |
GK 세일즈 |
4. 1. 1. 자사 및 관련 회사 미술 배경 부문
- 아사히 프로덕션
- IG 오구라 공방
- WIT STUDIO
- 교토 애니메이션
- CloverWorks
- J.C.STAFF
- SILVER LINK.
- 스튜디오 컬러도
- 테즈카 프로덕션
- 텔레콤 애니메이션 필름
- 파인잼
- 베가 엔터테인먼트
- MAPPA
- ufotabl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